생활정보/질병 , 지식

눈 다래끼 / 눈 다래끼 원인과 증상 / 눈 다래끼 예방법

zznaa 2020. 6. 20. 15:55
반응형

가끔 화장을 할 때면 눈에 하얗고 동그란 물집 같은 게 생길 때가 있습니다.

이것은 다래끼라고 의심해 볼 수 있는 증상인데요.

여자들에게는 정말 치명적인 염증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눈 다래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눈 다래끼란?

쉽게 말씀드리면, 눈꺼풀에 있는 분비샘에 생긴 염증을 말합니다.

눈꺼풀에는 여러 가지의 피부 부속기관이 있으며,

이 중 대표적인 분비기관으로는

눈물충의 성분을 분비하는 짜이스셈(gland of Zeis), 마이봄샘(Meibomian gland)과

을 분비하는 몰샘(Moll's gland)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분비샘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을 '다래끼'라고 합니다.

 

다래끼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으며, 각 각 다른 질환입니다.

밑에 사진을 보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이미지 출처 : 네이버

1. 콩 다래끼

 

산립종이라고도 하는 콩다래끼는 마이봄샘에 발생한 무균성 육아종성 염증을 말합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세균 감염으로 발생한 것이 아니며, 마이봄샘의 입구가 막혀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한 분비물과 괴사조직이 쌓이면서 염증반응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 원인입니다.

 

2. 겉 다래끼

 

겉 다래끼는 짜이스샘이나 몰샘의 급성 화농성 염증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다래끼가 이에 해당합니다.

주로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의 감염에 의해 발생되며,

속 다래끼(맥립종)는 마이봄샘에 발생한 급성 화농성 염증을 말합니다.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자면,

 

* 겉 다래끼 : 눈꺼풀의 가장자리가 부으면서 통증, 해당 부위가 단단해지면서 염증물질 배출

* 속 다래끼 : 결막에 노란 농양점이 나타나고, 눈꺼풀에 불편감이 오다가 증상이 진행

 

 

겉 다래끼는 눈꺼풀 표면에 가까이 위치합니다. 초기에는 약간 빨갛게 부어오르거나 가려운데,

곧 심하게 부어오르며 통증이 생깁니다. 며칠이 지나면 단단해지고 통증이 감소하며

농양(고름집)이 생기면서 결국은 피부로 배출됩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인접한 속눈썹 뿌리로 감영이 확대되어 다발성으로 발생할 수 도 있고, 자주 재발하기도 합니다. 

 

속 다래끼는 겉 다래끼보다 눈꺼풀 깊숙이 위치하고 결막에 노란 농양점이 관찰됩니다.

 

콩다래끼는 눈꺼풀테 피부 아래에 팥알 크기의 단단한 결절이 만져지는데,

피부가 붉게 변하거나 통증 같은 염증 증상이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러나 콩다래끼 병변에 상처가 나거나 세균 감염이 되면 속 다래끼와 비슷한 모습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눈 다래끼의 원인

눈꺼풀의 분비샘은 눈물의 증발을 막아주는 기름 성분을 만들고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배출이 지연되면서 기름 성분이 쌓이게 되는데 이때 분비샘에 염증이 생기고, 여기에 세균 감염이 함께 발생할 경우 겉 다래끼 또는 속 다래끼가 되며 주로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에 의해 잘 감염이 됩니다. 콩다래끼는 세균 감염이 동반되지 않고 배출되지 않은 기름 성분에 의한 만성적인 육아종성 염증반응에 의해 발생합니다.

 

 

눈 다래끼의 증상

겉 다래끼와 속 다래끼는 급성 세균 감염에 의한 것이므로 발적과 통증이 상대적으로 심하여 피하 또는 결막하에 농양이 형성됩니다. 겉 다래끼는 눈꺼풀의 가장자리가 부으면서 통증이 생기고 해당 부위가 단단해져(경결) 압통이 심해지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염증에 의한 물질들이 피부로 배출(배농) 됩니다. 속 다래끼는 겉 다래끼보다 깊이 위치하며, 결막(눈꺼풀을 뒤집으면 보이는 빨간 점막 조직) 면에 노란 농양점이 나타납니다.  콩 다래끼는 눈꺼풀 가장자리 피부 밑에서 단단한 결절이 만져질 수 있으며, 발적이나 통증 등의 증상은 경하거나 없습니다.

 

눈 다래끼 예방법

눈 다래끼 예방법은 평소에 항상 손을 깨끗이 하고 눈을 함부로 만지지 않아야 합니다.

눈을 만져야 할 경우에는 손을 깨끗이 씻은 후에 만지도록 해야 합니다.

자주 콩 다래끼가 재발하는 경우 눈꺼풀 분비샘의 기름 배출을 돕기 위해

눈꺼풀을 청소하는 약제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다래끼가 같은 자리에 재발할 경우는 피지샘암과 같은 악성 종양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조직검사를 통해 확인을 해봐야 합니다.

또한, 깨끗하지 못한 손으로 인해 오히려 세균 감염이 심해질 수 있어서

고름을 짜 주는 행동은 삼가셔야 합니다. 

 

이렇게 눈 다래끼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